거울, 시대를 비추다(25.3.21~7.20)-국립청주박물관 2025특별전
국립청주박물관 '거울, 시대를 비추다' 특별전은 '빛을 담다', '권력이 되다', '문화를 잇다'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농경사회 샤먼의 거울부터 故 이건희 회장이 수집한 거울까지
시대와 지역을 아우르는 다양한 거울이 전시되어 있다네요
거울은 내 자신을 스스로 돌아볼 수 있는 물품으로 금속으로 만든 거울 뒷면에는 사용하는
사람들의 취향에 따라 정교한 무늬나 글귀를 새기기도 했는데 시대에 따라 사용법도 다르고
무늬도 다르며 형태도 다양했다고 하네요


'거울, 시대를 비추다' 특별전이 개최되고 있는 국립청주박물관에서~~




'거울, 시대를 비추다' 특별전 전시 개요


'제 1부, 빛을 담다'에서는 금속으로 거울을 만드는 과정과 용모를 비추는 거울을
신에게 바치며 정성을 표현한 내용 등이 전시되어 있엇네요

청동을 만드는 재료와 거푸집, 합금비율에 대한 전시공간
청동을 만드는 재료와 동경 제작을 위한 합금비율이 적혀 있는 '주례'


돌로 만든 거푸집에서 흙으로 만든 거푸집이 사용되면서 정교하고 세밀한 무늬가 새겨진
청동거울 제작이 가능해졌다고 하네요(화순 대곡리 출토 정문경/국보 제143호)

거울은 신과 소통하고 염원이 담긴 신성한 물건으로 다양한 의례에 사용되어
깨뜨려 나쁜 기운을 쫓거나 흙이나 돌로 만들어 신에게 바치기도 했다네요


제주 화순리 유적에서 출토된 토경과 석경, 관옥, 다뉴경 등 /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원판형모조품(납으로 만든 둥근 판으로 실제 거울을 본떠 만든 모조품)은 용왕에게 바치는
제사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네요


깨진 거울에 대한 전시내용


평양 부근에서 출토된 직물의 흔적이 남아 있는 동경


'제 2부, 권력이 되다'에서는 거울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용도에서 왕이나 샤먼 등
특정한 사람들만 가지는 귀한 물건이 되었음을 알아보는 공간이라고 하네요

거울과 방울은 금속이 가진 가장 큰 특징인 광택과 소리를 대변하고 있어 하늘과
인간을 이어주고 비를 내리게 하며 풍년을 가져오는 예식에 사용되었다고 하네요


부여 함송리 출토 동령과 정문경

한반도 남부에서 생산된 철은 주변지역과 중요한 교역물품으로 중국과 교역시
다양한 물품과 교환되었는데 그중에서도 동경이 포함되어 있었다고 하네요


김해 양동리에서 출토된 철로 된 재갈, 철곽, 철부/경산과 김해 등지에서 출토된 동경


청동거울은 삼국시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출토사례는 적지만 주로 해안과 강을 따라
출토되고 있어 당시 교역로와 지역 간 관계를 엿볼수 있다네요

동경이 왕의 무덤에서 출토된 예는 고구려 마센거우, 백제 무령왕릉,
신라 황남대총과 금령총 등이 대표적이라고 하네요


경주 황남대총 출토 박국경 / 공주 무령왕릉 출토 수대경(국보 제161호)


'제 3부, 문화를 잇다'에서는 거울레 새겨진 다양한 문양과 글자를 통해 언제,
어디서 만들었으며 어떻게 전해졌는지에 대한 내용 등이 전시되어 있었네요
중국 한나라는 동경 문화가 가장 번성했던 시기로 우리나라와 일본에 큰 영향을 주었는데
한반도에서 출토되는 중국 거울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분포되고 있다네요





거울에는 군주에 대한 충성, 개인의 안녕과 복을 기원, 꿈구던 이상적인 세상 등이 반영된
다양한 글귀와 무늬가 새겨져 있다고 하네요





일본은 중국에서 전파된 정문경의 영향을 바다 외경이라는 독자적인 거울을 만들었는데
우리나라는 4세기에 왜경이 유입되어 5세기 이후에는 경주를 비롯한 영산강과
남강 유역 등으로 확산되었다고 하네요




삼국시대 고구려, 백제, 신라로 동경과 철경이 교류되어 중국에서 유행하던 거울은
거의 실시간으로 한반도 각지로 전파되었다고 하네요


창녕 계성무덤에서 출토된 철로 된 거울(철경) /
평남 용강군 칠실총에서 출토된 철경과 철제품, 토제감편, 금동투조장식, 동제품

故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금속공예품은 모두 926점으로 그중 거울이 555점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네요


故 이건희 회장이 기증한 거울




어린이 체험존인 '나만의 거울을 만들어요' 코너와 '오늘 나를 비추는 거울' 문구를 보면서
전시실에서의 시간을 정리하네요
~촬영 : 2025년 3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