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신 필 풍속도화첩은 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알려진 김득신이
뛰어난 관찰력과 개성적 화풍으로 서민의 풍속을 해학적으로 담아낸 풍속화첩이라고 하네요
김득신 필 풍속도화첩은 간략화된 배경에 안물들을 배치하고 굵은 선으로 주름진 의복을
표현하여 김홍도 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순간적인 동작과 심리를 절묘하게 묘사한 것은
김득신 만의 개성이라고 하네요
![](https://blog.kakaocdn.net/dn/cCGT6w/btsLtu8AxTK/yLasGB8wXQRqk745pAAPo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X2OTZ/btsLsP6mpIv/5yQse5JAdUHOfxOn0wXTH1/img.jpg)
김득신 필 풍속도화첩(보물 제1987호)과 전시 안내문구
![](https://blog.kakaocdn.net/dn/4iR0t/btsLrX4XgWq/CRKge4uyiBdUeM6aLdqQk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ozRMh/btsLs85Cbwp/lNe6RfdxRNO2vFvcTkhuy1/img.jpg)
'성하직구(盛夏織屨)'는 여름날 짚신 삼기에 한창인 농촌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할아버지
등에서 아버지를 바라보는 손자, 혀를 빼고 더위를 식히는 개, 웃통을 벗어젖힌 모습에서
여름을 보내는 서민들의 생활정서를 생생하게 표현했다네요
![](https://blog.kakaocdn.net/dn/J4ZSH/btsLrc9a5sP/QM6JdeKcqSnKmk59umYKW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KLWaN/btsLtxxp6lw/wCKnBJe2kBgi2XtubeXPxK/img.jpg)
'야장단련(冶匠鍛鍊)'은 화덕에서 쇳덩이를 꺼내 모루 위에 올려놓자 대장장이가 번갈아
가며 쇠메질을 하는 대장간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쇳덩이를 잡고 있던 인물이 구경하는
사람을 힐끗쳐다보는 모습이 신선한 긴장감과 실재감을 높여주고 있다네요
![](https://blog.kakaocdn.net/dn/o282M/btsLupFGgzO/JK7jx2Uw0MHLBnxAkt6Ed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Er7m2/btsLrVza4Hc/HFWMfUH8SWHgbpqwmJ66tk/img.jpg)
'주중가효(舟中佳肴)'는 고기잡이에 나선 아버지와 아들의 모습을 담은 그림으로 아들은
물고기를 손질해 솥에 넣어 조리를 준비하는데 삿대를 잡은 아버지는 창공에 날아가는
두마리 새를 무심하게 바라보고 있는 당시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표현했다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bQ6IT/btsLs1ldsLt/FFnkxECgLMwEDeTwFR2zq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qZdaN/btsLrKkhsJh/y1DpsLfgRyhVuhPzkc2K50/img.jpg)
'송하기승(松下棋僧)'은 시원한 소나무 그늘에서 장기를 즐기는 스님들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한 스님은 더운 날씨 탓인지 가사도 입지 않고 저고리마저 풀어 젖힌 채 장기 말을
옮기고 있지만 고깔을 쓴 스님은 장기가 맘에 안드는지 떨떠름한 표정으로 바라보고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b6z5mD/btsLrHA6jwY/Z5QGoWIuNA2WR0D8kaezb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y57T/btsLsgpCt13/TUHbHa1UdcN4HdO88mKSU1/img.jpg)
'야묘도추(野猫盜雛)'는 아른한 봄날에 병아리 한 마리를 물고 도망치는 고양이로 인해
소동이 일어난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장죽을 뻗은 남성은 중심을 잃고 넘어져 땅건과
돗자리메는 틀도 마당으로 굴러 떨어져 있지만 고양이는 여유있게 뒤돌아보고 있네요
![](https://blog.kakaocdn.net/dn/MnxE9/btsLrNBho1W/NKVoHfcmhnyiWOfaIwC3F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wDfja/btsLrFwB4i6/LyKRgL4M6GtKc38GwHB88K/img.jpg)
'밀희투전(密戱鬪牋)'은 패의 끗수로 승부를 겨루는 투전판의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안경을
쓴 인물이 패를 내놓자 노름판은 긴장감이 감돌고 술기운에 승부욕이 더해져 모두 얼굴이
붉은데 맨 오른쪽 연둣빛 중치막을 입은 사내는 초상화같이 얼굴 표현이 섬세하다네요
~촬영 : 2024년 10월 말~
'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 남산동 동, 서 삼층석탑(국가지정 보물) (1) | 2025.01.09 |
---|---|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고려청자 매병 중 가장 뛰어난 작품 중 하나/국가지정 국보)-간송 미술관 (0) | 2025.01.02 |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국가지정 보물)-국립경북대학교 박물관 (0) | 2024.12.19 |
윤두서 필 심득겸 초상(국가지정 보물)-국립광주박물관 (0) | 2024.11.28 |
신윤복 필 풍속도화첩(국가지정 국보)-간송미술관 (1)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