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곡 호국평화기념관은 낙동강방어선 전투에서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희생하신 분들에게 감사하고 그분들의 호국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로비, 호국전시관,
전투체험관, 유아평화체험관, 입체영상관, 전망대 등을 갖추고 2015년 10월 개관하였는데
이번에는 호국전시관과 로비, 전망대 만 돌아보았네요
호국평화기념관은 한국전쟁 당시 치열했던 낙동강방어선전투를 보고 느끼고 재현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호국평화체험의 장으로서 기념관의 외형은 힘차게 펄럭이는 태극기의
모습에서 착안하였다고 하네요


칠곡 호국평화기념관에 있는 호국평화탑과 호국전시관에서~~


펄럭이는 태극기를 형상화한 호국평화기념관 외관으로 대형 태극기 계양대는 55m로
칠곡에서 벌어졌던 55일간의 낙동강방어선 전투를 상징하고 있다네요


'호국평화탑'은 우리나라 고유 사각 방패 형상으로 결코 뚫리지 않았던 낙동강 방어선을,
조형물 높이 11.29m는 한국전쟁 발발일 부터 정전협정 체결일까지 일자를 상징한다네요


호국평화탑 뒤편에 있는 '스크린 벽'에는 유학산 전투, 왜관철도 폭파, 융단폭격 등
칠곡에서 벌어졌던 대표적인 전투와 주요 사건을 하나의 이미지로 구성하였다네요




호국평화기념관 로비


구멍 난 철모에 있는 20개의 핵심단어는 칠곡에서 있었던 주요 전투사를 표현하고 있으며
구멍 난 철모를 향하고 있는 55개의 탄피와 철모 속 사진은 우리 국군과 유엔군이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하여 목숨 바쳐 희생되신 것을 연출하고 있다네요


호국전시관


한국전쟁 연표와 동영상


북한의 기습적인 남침으로 최소한의 가재도구만 이고지고 남으로 이동하는 피난민


1950년 7월 18일, 대전에서 열린 국군-유엔군 작전회의에서 워커 미 제8군 사령관과
딘장군, 정일권 장군이 대한민국 마지막 방어선을 낙동강으로 결정하였다네요


낙동강의 모든 다리를 1950년 8월 4일 폭하하고 구축된 낙동강 방어선은 대한민국 최후의
방어선으로 부산을 기지로 총반격을 위한 교두보라는 의미에서 '부산 교두보',
워커 미 8군 사령관이 설정한 방어선이란 의미로 '워커 라인'이라고도 한다네요


개천 초기 남북한의 전력비교를 알려주는 전자 게시판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무력으로 통일하려는 김일성의 의지와 이를 후원한 스탈린의 결정,
그리고 마오쩌둥의 지원으로 시작된 처참한 비극이었다고 하네요


대한민국은 '1950년 봄, 북한이 전면적인 공세를 취할 것이다'라고 명확하게 예측
하였지만 준비 부족과 미국의 소극적인 지원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고 하네요


제2차 세계대전 후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설정된 38선이 미국과 소련의 관계가
냉전구도로 바뀌면서 자유진영과 공산진영 간의 첨예한 대치선이 되었다고 하네요


북한은 광복 5주년인 1950년 8월 15일까지 한반도를 공산화 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낙동강 방어선에서 총 공세를 펼쳤으며 국군과 유엔군은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위기 속에
극비리에 인천상륙작전과 함께 낙동강 방어선 사수를 위헤 총력을 다했다네요


낙동강 방어선인 칠곡에서 있었던 55일 간의 전쟁에서 있었던 왜관전투, 금무봉전투,
유학산 전투, 328고지전투 등에 대한 자료를 전시한 공간










북한군이 T-40 전차 40대를 투입하고 후방 병력을 모두 투입하여 최후 결전을 펼친
다부동 전투에서 역사상 최초로 한국과 미군이 함께 전투를 벌인 것이 역사상 최초의
한미연합작전이었다네요


다부동 북쪽 천평계곡에서 아군과 적군의 전차 20여 대가 전차전을 벌였는데 전차포에서
발사된 철갑탄의 탄환이 다섯 시간 동안 불꽃을 튀기며 밤하늘을 수놓은 모습이 마치
'볼링공이 굴러가 핀을 쓰러뜨릴 때 모양과 같다'하여 '볼링앨리 전투'라 부르기도 했다네요


낙동강 전투는 군인은 물론 경찰, 학도의용군, 소년병, 여군 등이 참여한 총력전이었다네요


1950년 9월 15일 실시된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북한군은 보급로가 차단되어 전투의지가
상실됨에 따라 낙동강 방어선에서 국군과 유엔군은 총반격의 기회를 잡았다고 하네요


9월 16일, 낙동강에서 총반격을 시작한 국군과 유엔군은 7일 만에 낙동강을 돌파하고
반격 15일 만에 38선까지 진격하였다고 하네요


중공군 개입 후 철수와 재반격, 그리고 휴전협상과 고지 쟁탈전에 대한 전시내용


한국전쟁으로 인 인명피해 현황과 정전협정 체결 이후 뷱한의 주요 대남도발 사례




이 땅의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 바친 이들의 고귀한 희생을 영원히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한 추모 공간


호국평화기념관 전망대에서 고속철도와 칠곡보(왜관보)를 바라보면서 시간을 정리하네요


~촬영 : 2023년 12월 중순~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진해구 웅천읍성(경남 기념물) (0) | 2024.02.19 |
---|---|
창원시 진해구 소사마을 (0) | 2024.02.13 |
군산 말랭이 마을 (1) | 2024.01.29 |
군산 취성산 상주사 (0) | 2024.01.23 |
춘천 죽림동 주교좌성당(국가지정등록문화재)-춘천 최초 천주교 성당 (2) | 2024.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