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부산 재한 유엔(UN) 기념공원(국가지정 등록문화재)-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이자 성지

navykanggu 2024. 7. 31. 13:32

부산에 있는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기념묘지이자 성지로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전몰장병들을 안장하기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에 의해 1951년 1월 조성되었으며 1959년 협정 체결로 이곳을 영원히 유엔기념묘지로 지정되면서 대한민국 정부는

유엔군 묘지가 설치된 이곳을 유엔에 기증했다고 하네요

유엔기념공원은 1974년 2월, 묘지를 관리해오던 유엔 산하 UNCURK가 철수함에 따라

이곳에 안장자가 있는 11개국으로 구성된 재한유엔기념공원 국제관리위원회가 현재까지

유엔기념공원을 관리 · 운영하고 있는데 총 13개국 2,300여명이 안장되어 있다네요

유엔기념공원 관리위원회는 이곳을 방문하는 참배객들에게 오늘 우리가 향유하고 있는

자유와 평화가 이분들의 희생 덕분임을 깨닫고 동시에 앞으로 이 땅에 전쟁이 다시 없도록

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하네요

 

유엔기념공원 묘지를 배경으로~~

 

유엔기념공원 정문과 유엔기념공원 운영시간 및 참배객 준수사항 안내문구

 

기념관 전경과 유엔공원 배치도

 

기념관은 1968년 유엔이 건립한 건물로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사령부가 최초로 사용한

유엔기를 비롯해 유엔군 사진자료 및 기념물과 함께 알파벳 순으로 각 참전국별 유엔군의

활약상이 담긴 사진, 기념유품, 방문기념패 등이 전시되어 있다고 하네요

 

추모관은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유엔군 전몰장병들의 영령을 추모하기 위하여 1964년 8월

유엔이 건립한 건축물로 한국의 유명한 건축가 김중업이 전몰장병들의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감안하여 설계하였다고 하네요

추모관에서 한국전쟁과 우리공원의 역사에 관한 다큐메터리가 12분 동안 상영되고 있어

참배객들에게 한국전쟁과 유엔군에 대한 이해를 돕는 역할도 하고 있다네요

 

재한유엔기념공원(등록문화재 제359호)과 안내문구

 

도은트 수로(Daunt Waterway)를 따라 추모공원 안으로 들어가는 중인데 도은트 수로

이름은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된 전사장 중 최연소자(17세)인 호주병사 (J.P.DAUNT)의

성을 따서 지었다고 하네요(사진출처 : 유엔기념공원 홍보팜프렛)

 

'무명용사의 길'은 위령탑 아래쪽 수로로 11개의 물 계단, 11개의 분수 그리고 11그루의

소나무가 있는데 이는 유엔군기념공원에 전몰장병이 안장된 11개국을 의미하고 았다네요

유엔군 위령탑은 1978년 한국정부가 건립한 조형물로 정면에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가

조각되어 있으며 벽면에는 각 나라별 전투지원 내역과 전사자 숫자가 새겨져 있다네요


 

유엔군 위령탑 내부에 위치해 있는 제2기념관에는 유가족들이 제공한 안장자 사진이

바둑판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안장자와 관련된 기념품과 그림 등이 전시되어 있다네요

(제2기념관 사진출처 : 유엔기념공원 홍보 팜프렛)

 

유엔군 위령탑 앞에는 이곳을 방문한 역대 대통령(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이명박, 박근혜,

윤석열)의 방문목적과 일자 등이 새겨진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었네요

 

유엔기념공원 상징구역에는 유엔기와 참전국 22개국의 국기, 그리고 대한민국의 국기가

게양되어 있네요

 

유엔군 전몰장병 추모명비에는 1950년 6월 25일 부터 1953년 7월 27일 까지 진행된

한국전쟁 중 전사한 유엔군 40,896명의 이름이 새져겨 있으며 수반 한 가운데에는 꺼지지

않는 불꽃이 영원한 세계 평화를 염원하며 전몰장병들의 영혼을 추모하고 있으며

추모명비 입구에는 이해인 수녀의 헌시가 새겨져 있다고 하네요

 

유엔기념공원 주묘역에는 한국전에 참전한 유엔군 전몰장병이 잠들어 있는 곳으로 호주,

캐나다, 프랑스, 네덜란드, 튀르키에, 영국, 미국 7개국의 묘역이 있으며 각 국가별 묘역에는

전사자의 묘와 기념비가 자리잡고 있다네요

 

유엔기념공원 주묘역을 바라보면서 시간을 정리하네요

~촬영 : 2024년 6월 중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