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9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15주년 기념 특별전' - 안중근 서(書)/24년 10월 24일~25년 3월 31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안중근 서(書)' 특별전은 안중근 의사 하얼빈 의거 115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24년 10월 24일 부터 25년 3월 31일까지 개최된다고 하네요​'안중근 서' 특별전은 안중근 의사가 쓴 글씨와 관련 기록을 안중근 의사의 어린 시절 이름인 응칠(應七)을 본 따 일곱 가지 이야기로 구성하여 관람객들에게 독립을 염원했던 안중근 의사의 치열했던 삶과 의지, 사상을 되새기는 계기가 되길 바라면서 개최한다고 하네요​안중근 의사는 1909년 10월 26일 조국의 독립과 동양평화를 지키기 위한 하얼빈 의거 후 투옥된 뤼순 감옥에서 순국을 앞두고 여러 글씨를 남겼는데 독립에 대한 의지, 동양평화 사상 등 안중근 의사의 올곧은 정신이 글씨에 그대로 담겨 있다고 하네요안중근 서(書) 특별전이 개최되..

국내여행 2024.12.30

포항 북송리 북천수(국가지정 천연기념물)-흥해읍의 풍수형국을 보완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한 숲

포항 북송리 북천수(길이 1.87㎞, 폭 70m)는 흥해읍 곡강천 남쪽 제방을 따라 길게 조성된 숲으로 수령 50~200여 년의 소나무와 군락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데 북송리라는 이름은 1914년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때 이 숲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고 하네요​북송리 북천수는 '조선 철종 때 흥해군수 이득강이 읍성과 흥해의 진산인 도음산의 맥을 보호하고 북천에 둑이 없어 장마만 지면 수해가 나는 것을 보고 군민들 동원하여 북천 제방을 쌓고 4리에 뻗친 북천수를 조성하였다' 라는 기록이 있어 흥해읍의 수해방지와 바람막이 역할을 하며 풍수지리적으로 도음산의 맥을 보호하여 흥해읍의 풍수형국을 완성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고 하네요포항 북송리 북천수가 있는 제방에서~~ 포항 북송리 북천수(천연기념..

자연이야기 2024.12.26

김득신 필 풍속도화첩(긍재전신첩/국가지정보물)-간송미술관

김득신 필 풍속도화첩은 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알려진 김득신이 뛰어난 관찰력과 개성적 화풍으로 서민의 풍속을 해학적으로 담아낸 풍속화첩이라고 하네요​김득신 필 풍속도화첩은 간략화된 배경에 안물들을 배치하고 굵은 선으로 주름진 의복을 표현하여 김홍도 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순간적인 동작과 심리를 절묘하게 묘사한 것은 김득신 만의 개성이라고 하네요  김득신 필 풍속도화첩(보물 제1987호)과 전시 안내문구 '성하직구(盛夏織屨)'는 여름날 짚신 삼기에 한창인 농촌 풍경을 묘사한 것으로 할아버지 등에서 아버지를 바라보는 손자, 혀를 빼고 더위를 식히는 개, 웃통을 벗어젖힌 모습에서 여름을 보내는 서민들의 생활정서를 생생하게 표현했다네요 '야장단련(冶匠鍛鍊)'은 화덕에서 쇳덩이를 꺼내 모루 ..

문화재 2024.12.23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국가지정 보물)-국립경북대학교 박물관

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높이 16.5㎝)은 분청사기 특유의 획일적으로 무늬를 찍는 인화문과 표면에 백토를 씌우는 분장법을 제외하면 고려청자와 같은 질감을 가진 조선 초기에 제작된 것이라고 하네요​분청사기는 고려 말 유행하던 상감청자가 쇠퇴하면서 백자와는 다른 형태와 무늬, 구도를 가진 도자기로 백토로 분장한 회청사기라는 의미로 '분청회청사기'를 줄여서 '분청'이라 칭한다고 하네요분청사기 상감연화문 편병(보물 제268호)과 안내문구      ​~촬영 : 2024년 4월 중순~

문화재 2024.12.19

보령 산수동 소나무(시도 기념물)

보령 산수동 소나무( 높이 1.7~2.3m, 가슴높이 둘레 2.7m)는 수령 약 500여 년으로 지상 0.7m에서 줄기가 두 갈래로 갈라져 동쪽으로 뻗어나갔는데 조선 초 북방 여진을 정벌하고 이시애의 난을 평정한 신천부원군 강순 장군이 왕으로부터 하사받은 토지를 둘러보고 심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네요​산수동 소나무는 방솔이라고도 불리우고 있는데 예로부터 영험이 깃든 소나무로 정성껏 소원을 빌면 이루어지고 나무에 해를 끼치거나 가지를 꺽으면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고 알려져 있으며 마을에서는 해마다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고 하네요보령 산수동 소나무를 배경으로~~ 보령 산수동 소나무(충남 기념물 제179호)와 안내문구      ​~촬영 : 2024년 8월 말~

자연이야기 2024.12.16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고(故) 이건희 회장 기증 대구. 경북의 국보와 보물 "200년 전의 대구 비산동과 1500년 전의 고령 지산동"

국립대구박물관 특별전 '고 이건희 회장 기증 대구 · 경북의 국보와 보물'은 2,000년 전의 대구 비산동과 1,500년 전의 고령 지산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유물을 전시하고 24년 7월 9일 부터 25년 6월 29일 까지 개최된다고 하네요​대구 비산동 청동기는 초기 철기시대 세형동검, 호랑이 모양의 띠고리, 쇠뿔모양의 동기, 동투겁창 등으로 1956년 와룡산 기슭에서 주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고 하네요​고령 지산동에서 출토된 청동기 유물은 경북 고령군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유물로 목걸이, 장식대도, 마구 등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고령은 삼국시대 대가야 중심지로 지산동 고분군과 본관리 고분군 등이 대표적이라고 하네요특별전이 열리고 있는 전시실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칼과 칼집 청동기 시대 마차와 무..

국내여행 2024.12.13

공주 수촌리 고분군(국가지정 사적)-무령왕릉 이후 백제 역사를 재 조명할 수 있는 백제무덤 발굴 유적

공주 수촌리 고분군은 청동기 이후의 집터와 초기 철기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고분이 자리잡고 있는 무덤 유적지로 2003년 의당 농공단지조성 예정부지에 대한 발굴조사시 확인되었다고 하네요​공주 수촌리 고분군에 있는 초기철기시대 무덤에서는 철기인들의 무기인 세형동검과 검파두식(검자루 끝장식) 등 기원전 2세기대의 고대유물이 출토되었다네요​공주 수촌리 고분군 백제무덤에서는 금동모자를 비롯하여 금동신발, 금제 귀고리, 중국제 도자기 등 당시 최상급 지배자들만 가졌을 유물이 출토되어 무덤 주인공의 신분이 4~5세기 공주지역 최고 지배자였던 것으로 추정된다고 하네요​공주 수촌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유물은 한성백제가 웅진(현 공주)으로 천도하게 된 배경을 설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자료로 무령왕릉 이후 백제의 역사를 ..

국내여행 2024.12.09

김천 방초정(국가지정 보물)-화순 최씨부인과 몸종 석이의 정절이 깃든 곳

방초정(芳草亭)은 조선 선조 때 부호군을 지낸 이정복이 인조 3년(1625)에 임진왜란 당시 정절을 지키기 위해 연못에 몸을 던진 부인을 그리워하며 그녀가 몸을 던진 연못을 지금의 모습으로 정비한 후 이곳에 정자를 짓고 자신의 호를 따 방초정이라 이름을 붙였다고 하네요​방초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된 2층 누각으로 가운데 온돌방을 설치하고사방으로 마루를 설치했는데 건물 중앙에 온돌방을 설치하는 구성은 호남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형태이지만 경상지역에서는 극히 드문 경우라고 하네요​방초정 2층 누각에는 방문했던 묵객들이 지은 시와 글을 옮겨 놓은 현판이 40여 개가 걸려있으며 한국전쟁 이전에는 여자들이 2층에 올라올 수 없었다고 하네요 방초정과 최씨담을 배경으로~~ 김천 방초정(보물 제2047호)..

국내여행 2024.12.05

광주 양림동 역사문화마을(어비슨기념관~오웬기념관~이장우 가옥~최승효가옥~사직공원~충현원~우일선선교사 자택~수피아 여고)산책

광주 양림길 역사탐방길은 광주에서 최초로 서양의 근대 문물을 받아들인 곳으로 일제강점기에는 선교사들이 교회와 학교, 병원 등을 설립하면서 광주의 예루살렘, 광주의 서양촌이라는 애칭이 남아 있다고 하네요​양림동 역사탐방길은 '근대문화로 통하는 옛길'이라는 별칭으로도 불리우고 있는데 양림(楊林)은 양촌(楊村)과 유림(柳林)을 합친 지역명이라고 하네요​오늘은 어비슨 기념관을 출발해서 양림교회, 광주 사직공원 전망타워, 충현원, 호남신학대학교를 지나 수피아여고 까지 약 5.4㎞를 산책한 추억을 올려 보네요광주 양림길 역사문화탐방길 산책은 어비슨 기념관에서 부터 시작했네요 양림문화지도와 양림산종합 안내도 고든 어비슨 선교사는 캐나다 출신 미국인 농업 전문가로 어비슨 농업학교를 세워 농사법 개량, 협동조합, 문맹퇴..

국내여행 2024.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