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제 산촌민속박물관은 인제군의 사라져가는 산골마을의 모습과 농가의 세시풍습 등
선조들의 삶을 엿볼 수 있는 곳으로 2003년 개관한 국내 최초 산촌민속 전문박물관이라네요
인제 산촌민속박물관은 산촌사람들의 생업과 관련된 도구, 관행, 신앙의례
등 실물과
배고팠지만 여유로웠던 시절 먹을거리와 즐길거리 등을 해학적으로 전시하고 있다네요
인제 산촌민속박물관 전시실에서~~
인제 산촌민속박물관 외관
강원평화지역 국가지질공원 인제 지질명소인 대암산 용늪, 소양강 하안단구, 진부령,
내린천 포트홀에 대한 전시문구가 이방인을 반겨주네요
산촌의 세시풍속에 대한 전시공간에는 인제 지역의 설(음력 1월1일), 여름날(음력 1.14일),
귀신날(음력 1.16일), 가을날(정월대보름), 일꾼날(음력2.1일)에 대한 전시내용
인제지역의 벌목, 밭갈이, 소보냄에 대한 전시내용
인제지역은 밭이 경사가 급하고 돌이 많아 겨리쟁기질로 밭을 갈았는데 콩이나 팥을
심을 때에는 쟁기질을 한 번 하는 외벌치기를 하고 옥수수, 조, 수수 등의 작물을
심을 때에는 쟁기질을 두 번하는 두벌치기를 하였다고 하네요
농사에 가장 필요한 물대기와 모내기에 대한 전시 공간
단오날 취떡을 해 먹고 그네를 타면서 시간을 보냈다고 하네요
인제 뗏목은 순수하게 목재운반을 목적으로 운송되었지만 압록강과 두만강의 뗏목은
주민들과 화물을 나르는 교통수단으로 이용되었다고 하네요
인제지역 민물고기에 대한 전시공간
인제는 남원과 함께 우리나라 대표적인 목기 생산지로 남원 목기에 비해 모양이나
품질은 거칠었지만 소박하고 전통적인 목기제작법의 원형을 잘 간직하고 있다네요
호무씨세(호미씻이)와 한가위에 대한 전시공간
가을걷이에 필요한 농기구
상달 텃고사는 가을일이 전부 끝난 후 길일을 택하여 그 해 거둔 곡식으로 집안의 신들에게
가을걷이의 고마움과 집안의 안녕을 비는 제사를 말한다고 하네요
목청과 석청은 나무나 절벽에 있는 야생벌집에서 채취한 토종꿀로 옛날부터 귀한 약재로
약효 뿐 만 아니라 워낙 적게 생산되어 귀하게 여겼다고 하네요
산지당은 인제지방의 토속신앙으로 산신을 모시는 곳으로 서낭은 보통 여신 하나를
모시는데 비해 지당은 남녀(산신 부부)신을 함께 모시며 제사의 격도 높다고 하네요
두부를 만드는 과정과 가을에 거둔 농작물을 저장하는 갈무리에 대한 전시공간
심메마니에 대한 전시공간
긴 겨울을 보내기 위해 김장과 땔감을 준비하고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만들었다네요
숯은 요리나 제련 뿐 만 아니라 공기정화, 정수, 부패방지 등 일상생활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어 인제 지방에서도 많이 생산되었다고 하네요
사냥과 관련된 전시공간
코쿨(벽난로)과 돌미리(얼음 둘레 그물을 치고 얼음 위를 발로 구르거나 막대기를 두들겨
고기들이 도망치다가 그물에 걸리게 하는 고기 잡이)에 대한 전시내용
산촌사람들의 사시사철 먹을거리가 전시되어 있는 공간
'국내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제현 관아(국가지정 사적)/거제 기성관(국가지정 보물) (1) | 2024.10.21 |
---|---|
보령 청라 은행마을 - 우리나라 최대 은행나무 군락지 (4) | 2024.10.17 |
대구 간송미술관 개관기념 국보, 보물전-여세동보(세상함께 보배 삼아) (1) | 2024.10.10 |
청주 탑동 양관(충북 유형문화재)-청주지역 최초 서양식 건축물 (1) | 2024.10.07 |
2024 대전시립박물관 한국문화전-돌과 흙에 새긴 삶 '대전 지석' (1) | 202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