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 71

서산 수선화 명소 유기방가옥(대한민국 가볼만한 곳 선정/충남 민속문화재)

서산 유기방가옥은 일제강점기인 1990년대 초에 건립된 가옥으로 송림이 우거진 낮은 야산을 배경으로 남향으로 지어졌는데 수선화가 만개하는 시기에는 관람객이 많아 한적한 시기에 찾아가 보았네요​유기방가옥은 북으로 '-'자형 안채와 서측의 행랑채, 동측에는 안채와의 사잇담, 근래에 지어진 주택이 안마당을 형성하고 있는데 안채 앞에 중문채가 있었던 것을 헐어내고 현재와 같은 누각형 대문채를 건립하였다고 하네요​유기방가옥은 3월 중순부터 4월까지는 입구에서 뒷산까지 노란 수선화가 피어 인기가 많은 곳으로 2023년도에는 '대한민국 가볼 만한 곳'으로 선정되었으며 '미스터 션사인' 등 여러 편의 드라마가 촬영된 곳이라고도 하네요유기방 가옥 수선화 산책길에서~~ 유기방 가옥 입장요금은 성인기준 8,000원으로 20..

국내여행 2025.03.13

경주 옥산서원(국가지정 사적)-세계유산 한국의 서원

옥산서원은 조선 중종 때 문신이자 성리학자인 회재 이언적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선조 5년(1572)에 처음 세웠는데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때에도 유지되었던 47개 서원 중 한 곳이라고 하네요​옥산서원은 '한국의 역사마을 · 하회와 양동'으로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소수 · 남계 · 도산 · 필암 · 도동 · 병산 · 무성 · 돈암서원과 함께 '한국의 서원'으로 세계유산에 다시 등재되었다고 하네요​서원은 조선에 성리학이 정착하면서 사림세력이 지방에 설립한 사립 고등교육기관으로 성리학을 연구하며 인재를 교육하는 강학공간과 존경하는 스승의 위패를 모시고 제향을올리는 제향공간, 유생들이 토론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휴식공간으로 구성되었다네요옥산서원 강당에서~~ 옥산서원 유물관을 지나 계곡길을 따라 옥산서원..

국내여행 2025.03.07

부산 닥밭골 벽화마을(국내 최초 현수식 모노레일)-닥밭골 1953 벽화마을

부산 서구 동대신동 산복도로에 있는 닥밭골 벽화마을은 한국전쟁으로 피난 온 피난민들이 산비탈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마을로 1953년에 있었던 부산역 대화재로 생활터전을 잃은 이주민들이 가세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고 하네요 ​닥밭골 벽화마을은 예전에 닥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으로 구불구불한 골목과 가파른 오르막길, 오래된 주택 등 1950년대 풍경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소박한 동네라고 하네요​닥밭골 벽화마을은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벽화골목과 소망계단 모노레일, 공원과 전망대 등이 있는 산책로와 데크길이 설치되면서 점차 유명세를 타고 있다네요닥밭골 전망대에서~~  부산 서여고 버스 정류장에서부터 닥밭골 가는 500여 미터 골목길에 표시된 이정표 닥밭골 종합 안내도 닥밭골 입구에 있는 한지마을..

국내여행 2025.02.27

고령 지산동 고분군(가야 최대 고분군/ 국가지정 사적/세계 유내스코 세계유산)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5세기부터 6세기까지 후기 가야의 주요 세력으로 성장한 대가야 지배자들의 무덤군으로 가야 고분군 중에서 가장 큰 규모라고 하네요​지산동 고분군은 고분의 규모가 클 수록 전망이 좋고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큰 고분은 주위로 작은 고분이 호위하듯 배치되어 있어 지배층의 무덤임을 알 수 있다네요​지산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토기, 청동그릇, 국자, 세잎무늬 고리자루큰칼, 마구류, 귀걸이 등 부장품은 대가야의 문화적 특성과 활발한 대외교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네요 ​가야고분군은 1세기부터 6세기까지 한반도 남부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가야의 정치, 문화를 집약해서 보여주는 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가야의 7개 고분군은 202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고 하네요​(유네스코 세계유산 가..

국내여행 2025.02.20

대구 간송미술관(대구 개관 후 첫 상설전시회)

대구 간송미술관은 국채보상운동의 시작점이자 한국 근대미술의 발상지인 대구에서 24년 9월 개관한 후 개관 기념전인 '여세동보'에 이어 이번이 첫 상설전이라고 하네요​간송미술관 첫 상설전은 25년 1월 16일 부터 단원 김홍도와 겸재 정선 등 화가들이 남긴 산수화와 조선 왕실의 글씨, 도자기 등 50여 점을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는데 앞으로 석 달마다 전시품을 바꿔 다양한 소장품을 선보이기로 했다네요 첫 상설전이 개최되고 있는 간송미술관 전시실 입구에서~~ 대구 간송미술관은 성인기준 관람요금은 6000원 이었네요'전시실 1'은 간송 전형필 선생의 문화보국의 의지와 염원이 깃든 작품들을 가까이 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서화, 도자기 등이 전시되어 있었네요 조선을 대표하는 대가들이 남긴 산수화가 전시되어 있는..

국내여행 2025.02.18

논산 돈암서원(조선시대 두 번 사액받은 서원/국가지정 사적/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서원)/돈암서원 응도당(국가지정 보물)

돈암서원은 사계 김장생 선생이 타계한 후 3년이 지난 1634년에 건립되어 효종(1659년)과 현종(1660년) 때 사액을 각각 받아 두 번의 사액을 받은 서원으로 1866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는 전국 47개 서원 중 한 곳이라고 하네요​돈암서원은 본래 현 위치에서 서북방 1.5㎞ 떨어진 숲말(林里)라는 곳에 있었는데 지대가 낮아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하여 1880년 지금의 위치로 옮긴 것으로 서원 서쪽에 '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어 서원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하네요​돈암서원은 우리나라에 있는 서원 중에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9개의 서원(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중 한 곳이라고 하네요 돈..

국내여행 2025.02.10

함양 남계서원(국가지정 사적)-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사원

함양 남계서원은 조선 초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고 하네요​ 남계서원은 급한 경사지 제일 높은 곳에 사당을 배치하고 그 아래로 강학공간과 출입문을 일직선 상으로 배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형식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이후 각 지역에 건립되는 서원은 대부분 전학후묘 배치 형식을 따르게 되었다네요​남계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 조정으로 부터 사액을 받았는데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어 1612년 현재 자리에 다시 세웠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 헐지 않고 존손된 47개 서원 중 하나라고 하네요​남계서원은 우리나라에 있는 서원 중에서 2019..

국내여행 2025.02.03

울릉군(울릉도) 독도 박물관-한 눈에 볼 수 있는 독도

울릉군 독도박물관은 독도에 대한 역사적 자료들을 통해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사실을 국내 · 외에 분명하게 알리고 국민들의 영토 및 역사의식을 높이는 산교육장으로 삼기위해 중앙일보가 창간 30주년과 광복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삼성문화재단과 함께 건립하여 1997년 8월 개관과 함께 울릉군에 기증하였는데 예전에 방문했던 추억을 정리했네요 울릉도에 있는 독도박물관에서~~ 독도박물관과 표지석 독도박물관 전시실 안내도 제 1전시실은 독도 선착장에서 바라 본 아름다운 독도 풍경을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실감나는 360도 VR(가상현실) 동영상으로 다양한 독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네요  제2전시실에서는 울릉도와 독도의 주요 사건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역사 속 독도'와 해방 이후 독도를 지키기 ..

국내여행 2025.01.27

익산 백제왕궁박물관 2024 특별전-'용' 삶에 스며들다(24년 10월 29일~25년 2월 2일)

백제왕궁박물관 -용 삶에 스며들다' 특별전은 과거 조상들이 신령스러운 용을 표현한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우리의 일상에 스며든 용의 면모를 살펴보는 전시회로 25년 2월 2일까지 개최된다고 하네요​'용(龍)'은 긴 수명과 강력한 힘을 지닌 동물로 과거 사람들은 신성한 존재로 농경이 주를 이루던 과거사회에서 용은 생명의 근원인 물을 상징하여 물과 바다를 다스리는 강력한 힘이 있다고 믿었다네요 익산 백제왕궁박물관 전경 '용' 삶에 스며들다 특별전이 개최되고 있는 기획전시실 '용'은 상상의 동물로 과거 사람들은 낙타, 사슴, 뱀 등 아홉 종류의 동물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반영하여 형태를 묘사하였다고 하네요 '제 1부, 용 전설을 품다'에서는 삼국유사, 고려사, 태조실록 등 옛 문헌에 기록된 용에 대한 내용이 전..

국내여행 2025.01.13

공주 계룡산 중악단(국가지정 보물)-조선시대 국가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낸 유일한 유적

공주 계룡산 중악단(中嶽檀)은 국가에서 계룡산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 건축물로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상악단), 남쪽의 지리산(하악단), 중앙의 계룡산(중악단)에서 단을 쌓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하네요​계룡산 중악단은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1394)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효종 2년(1651)에 제단이 폐지되었던 것을 고종 16년(1879)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중악단이라 칭했다고 하네요​계룡산 중악단은 구릉지에 동북과 서남을 중심축으로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악단을 일직선상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담장을 둘러 단묘(檀廟)건축의 격식과 기법을 적용하였는데 현재 상악단과 하악단은 없어져 나라에서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유일..

국내여행 2025.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