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78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가지정 국보)-우리나라 유일 십삼층석탑

정혜사지 십삼층석탑(높이 5.9m)은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 위에 13층의 몸돌을 올린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석탑 중에는 비슷한 예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라고 하네요​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은 1층 탑 몸돌이 상당히 큰데 반하여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의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져 2층 이상은 1층 탑 위에 있는 머리장식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왜소하게 보인다고 하네요​우리나라에 있는 석탑 중 10층 이상의 다층탑은 고려시대 조성된 북한 묘향산 보현사에 있는 8각 13층 석탑을 제외하면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 유일하다고 하네요​10층 이상의 다층탑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신라 성덕왕 원년(780)에 중국 당나라의 박우경이라는 사람이 신라에 망명하여 이곳에 머물면서 집을 짓고 살다가 후에 집을 고쳐 정혜..

문화재 2025.01.23

광주 무등산(원효사지구 관리사무소~무등산 옛길~목표~인왕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증심사지구 관리사무소) 등산-환상적인 눈꽃과 상고대

광주 무등산(해발고도 1186.8m)은 광주 광역시와 화순군 및 담양군의 경계에 있는 호남정맥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호남의 신전(神殿)이라 불리기도 하고 산세가 웅장하여 성산(聖山) 또는 신악(神岳)으로 알려진 명산이라고 하네요​무등산(無等山)은 높이를 헤아릴 수 없고 견줄만한 상대가 없어 등급을 매기고 싶어도 매길 수 없다는 의미로 백제시대에는 무진악, 고려시대에는 서석산으로 불리웠다네요​무등산은 산의 형상이 무덤과 같다고 하여 '무덤산'으로, 너덜이 많아 '무돌산'으로 불리던 것이 한자와 불교사상을 통해 '무등산'이 되었다는 설과 광주광역시의 옛 명칭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무등이라 불린다는 설도 있다고 하네요​오늘은 원효사지구 관리사무소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목교를 지나 인왕봉에 오른 다음 서석대, 입..

산을 찾아서 2025.01.20

정선 필 경교명승첩(조선시대 한강과 서울 근교 경관을 묘사한 화첩/국가지정 보물)-간송미술관

정선 필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은 한강과 한양을 묘사한 진경산수화, 고사인물화 등 총 33점의 그림과 정선 친구 이병연이 쓴 편지 등이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는 화첩이라네요​정선 필 경교명승첩은 정선이 양천현령으로 근무할 때 주로 한강변 명승을 그린 것을 바탕으로 친구 이병연과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여주자는 약속에 의해 그려졌는데 일부 그림 옆에는 정선이 쓴 이병연의 시구가 적혀 있다고 하네요​정선 필 경교명승첩은 제작 배경과 전래 경위가 확실하고 60대의 정선 화풍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은 보기 힘든 한강과 서울 근교의 경관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네요 정선 필 경교명승첩(보물 제1950호)과 전시 안내문구'독백탄(獨栢灘)'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 부근의 여울로 화면 왼쪽 절벽 위..

문화재 2025.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