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1

태백 태백산(유일사 주차장~장군봉~태백산~문수봉~당골광장) 등산

태백산(해발고도 1,566m)은 강원도 태백시와 경북 봉화군의 경계에 있는 산으로 토함산, 계룡산, 지리산, 팔공산과 함께 신라시대 오악에 속했으며 삼국사기에 신라 7대 일성왕이 139년에 제사를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고 하네요​태백산은 설악산과 오대산에서 함백산으로 이어지는 태백산맥의 종주(宗主)이자 모산(母山)으로 우리민족이 오랫동안 하늘과 땅, 조상을 숭배해 온 신앙의 성지인 천제단이 있어 매년 개천절에 태백제를 열고 제사를 올린다고 하네요​오늘은 영하 10℃(체감온도 영하 17℃)의 강추위 날씨와 함께 유일사 주차장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장군봉, 태백산, 문수봉을 지나 태백산 눈꽃축제가 열리고 있는 당골광장으로 하산하였는데 전체거리는 약 10. 2㎞ 정도 되는 것 같았네요 태백산 주목과 문수봉에서~~..

산을 찾아서 2025.02.13

논산 돈암서원(조선시대 두 번 사액받은 서원/국가지정 사적/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서원)/돈암서원 응도당(국가지정 보물)

돈암서원은 사계 김장생 선생이 타계한 후 3년이 지난 1634년에 건립되어 효종(1659년)과 현종(1660년) 때 사액을 각각 받아 두 번의 사액을 받은 서원으로 1866년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는 전국 47개 서원 중 한 곳이라고 하네요​돈암서원은 본래 현 위치에서 서북방 1.5㎞ 떨어진 숲말(林里)라는 곳에 있었는데 지대가 낮아 홍수 피해가 자주 발생하여 1880년 지금의 위치로 옮긴 것으로 서원 서쪽에 '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어 서원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하네요​돈암서원은 우리나라에 있는 서원 중에서 2019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9개의 서원(소수서원, 도산서원, 병산서원, 옥산서원, 도동서원, 남계서원, 필암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중 한 곳이라고 하네요 돈..

국내여행 2025.02.10

금산 천내리 용호석(충남 유형문화유산)-고려 공민왕 능묘 준비 석물

금산 천내리 용호석(龍虎石)은 천내리 마을 서쪽 강변에 자리잡고 있는 돌로 만든 용석(높이 1.38m)과 호석(높이 1.4m) 2기로 고려 말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네요​천내리 용호석은 고려 후기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안동으로 피난 내려 온 공민왕이 자신의 능묘 위치를 정하여 필요한 석물을 준비토록 한 것이 지금까지 그대로 남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네요금산 천내리에 있는 호석을 배경으로~~ 금산 천내리 용호석(충남 유형문화유산 제4호)과 안내문구(호석 보호각 : 노란선 안) 용석은 부정형 대석 위에 소용돌이 모양의 돌기 사이에 꿈틀거리는 용의 몸체가 조각되어 있는데 영의주를 물고 있는 아가미와 수염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고 하네요    용석을 돌아본 후 제방을 따라 약 400여 미터 정..

문화재 2025.02.06

함양 남계서원(국가지정 사적)-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사원

함양 남계서원은 조선 초 성리학자이며 동방 5현으로 불리는 일두 정여창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추모하기 위하여 1552년 개암 강익을 비롯한 지방 유생들이 건립하였다고 하네요​ 남계서원은 급한 경사지 제일 높은 곳에 사당을 배치하고 그 아래로 강학공간과 출입문을 일직선 상으로 배치한 전학후묘(前學後廟) 배치 형식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이후 각 지역에 건립되는 서원은 대부분 전학후묘 배치 형식을 따르게 되었다네요​남계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서원으로 1566년 조정으로 부터 사액을 받았는데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어 1612년 현재 자리에 다시 세웠으며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서 헐지 않고 존손된 47개 서원 중 하나라고 하네요​남계서원은 우리나라에 있는 서원 중에서 2019..

국내여행 2025.02.03

포항 흥해향교 이팝나무 군락(국가지정 천연기념물)

포항 흥해향교 이팝나무 군락(평균 높이 12.5m, 가슴높이 둘레 평균 2.73m)은 이팝나무 26그루가 상수리나무와 어울려 숲을 이루고 있는 옥성 마을숲에 위치하고 있었네요​옥성 마을숲(이팝나무 군락지)은 약 650년 전 고려 충숙왕 때 향교를 이곳에 건립하면서 기념식수한 나무에서 종자가 떨어져 번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네요​이팝나무는 풀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큰키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지역에 자생 분포하고 있는데 흥해향교 이팝나무 꽃의 만개 유무에 따라 흥해평야의 풍 · 흉년과 관계가 있다는 말이 구전으로 전해지고 있다네요 포항 흥해향교는 정확한 건립연대는 알 수 없으나 조선 태조 7년(1398)에 지었다고 전해지고 있는데 한국전쟁 때 대성전과 동무를 제외한 나머지 건물은 소실되어 195..

자연이야기 2025.01.30

울릉군(울릉도) 독도 박물관-한 눈에 볼 수 있는 독도

울릉군 독도박물관은 독도에 대한 역사적 자료들을 통해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사실을 국내 · 외에 분명하게 알리고 국민들의 영토 및 역사의식을 높이는 산교육장으로 삼기위해 중앙일보가 창간 30주년과 광복 50주년 기념사업으로 삼성문화재단과 함께 건립하여 1997년 8월 개관과 함께 울릉군에 기증하였는데 예전에 방문했던 추억을 정리했네요 울릉도에 있는 독도박물관에서~~ 독도박물관과 표지석 독도박물관 전시실 안내도 제 1전시실은 독도 선착장에서 바라 본 아름다운 독도 풍경을 영상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실감나는 360도 VR(가상현실) 동영상으로 다양한 독도의 모습을 볼 수 있다네요  제2전시실에서는 울릉도와 독도의 주요 사건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역사 속 독도'와 해방 이후 독도를 지키기 ..

국내여행 2025.01.27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국가지정 국보)-우리나라 유일 십삼층석탑

정혜사지 십삼층석탑(높이 5.9m)은 흙으로 쌓은 1단의 기단 위에 13층의 몸돌을 올린 통일신라시대 조성된 석탑 중에는 비슷한 예를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형태라고 하네요​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은 1층 탑 몸돌이 상당히 큰데 반하여 2층부터는 몸돌과 지붕돌의 크기가 급격하게 작아져 2층 이상은 1층 탑 위에 있는 머리장식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왜소하게 보인다고 하네요​우리나라에 있는 석탑 중 10층 이상의 다층탑은 고려시대 조성된 북한 묘향산 보현사에 있는 8각 13층 석탑을 제외하면 정혜사지 십삼층석탑이 유일하다고 하네요​10층 이상의 다층탑은 중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신라 성덕왕 원년(780)에 중국 당나라의 박우경이라는 사람이 신라에 망명하여 이곳에 머물면서 집을 짓고 살다가 후에 집을 고쳐 정혜..

문화재 2025.01.23

광주 무등산(원효사지구 관리사무소~무등산 옛길~목표~인왕봉~서석대~입석대~장불재~중머리재~증심사지구 관리사무소) 등산-환상적인 눈꽃과 상고대

광주 무등산(해발고도 1186.8m)은 광주 광역시와 화순군 및 담양군의 경계에 있는 호남정맥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호남의 신전(神殿)이라 불리기도 하고 산세가 웅장하여 성산(聖山) 또는 신악(神岳)으로 알려진 명산이라고 하네요​무등산(無等山)은 높이를 헤아릴 수 없고 견줄만한 상대가 없어 등급을 매기고 싶어도 매길 수 없다는 의미로 백제시대에는 무진악, 고려시대에는 서석산으로 불리웠다네요​무등산은 산의 형상이 무덤과 같다고 하여 '무덤산'으로, 너덜이 많아 '무돌산'으로 불리던 것이 한자와 불교사상을 통해 '무등산'이 되었다는 설과 광주광역시의 옛 명칭인 무들 또는 무돌에서 무등이라 불린다는 설도 있다고 하네요​오늘은 원효사지구 관리사무소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목교를 지나 인왕봉에 오른 다음 서석대, 입..

산을 찾아서 2025.01.20

정선 필 경교명승첩(조선시대 한강과 서울 근교 경관을 묘사한 화첩/국가지정 보물)-간송미술관

정선 필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은 한강과 한양을 묘사한 진경산수화, 고사인물화 등 총 33점의 그림과 정선 친구 이병연이 쓴 편지 등이 상하 2권으로 되어 있는 화첩이라네요​정선 필 경교명승첩은 정선이 양천현령으로 근무할 때 주로 한강변 명승을 그린 것을 바탕으로 친구 이병연과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여주자는 약속에 의해 그려졌는데 일부 그림 옆에는 정선이 쓴 이병연의 시구가 적혀 있다고 하네요​정선 필 경교명승첩은 제작 배경과 전래 경위가 확실하고 60대의 정선 화풍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지금은 보기 힘든 한강과 서울 근교의 경관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네요 정선 필 경교명승첩(보물 제1950호)과 전시 안내문구'독백탄(獨栢灘)'은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는 양수리 부근의 여울로 화면 왼쪽 절벽 위..

문화재 2025.01.16

익산 백제왕궁박물관 2024 특별전-'용' 삶에 스며들다(24년 10월 29일~25년 2월 2일)

백제왕궁박물관 -용 삶에 스며들다' 특별전은 과거 조상들이 신령스러운 용을 표현한 다양한 문헌자료를 통해 우리의 일상에 스며든 용의 면모를 살펴보는 전시회로 25년 2월 2일까지 개최된다고 하네요​'용(龍)'은 긴 수명과 강력한 힘을 지닌 동물로 과거 사람들은 신성한 존재로 농경이 주를 이루던 과거사회에서 용은 생명의 근원인 물을 상징하여 물과 바다를 다스리는 강력한 힘이 있다고 믿었다네요 익산 백제왕궁박물관 전경 '용' 삶에 스며들다 특별전이 개최되고 있는 기획전시실 '용'은 상상의 동물로 과거 사람들은 낙타, 사슴, 뱀 등 아홉 종류의 동물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반영하여 형태를 묘사하였다고 하네요 '제 1부, 용 전설을 품다'에서는 삼국유사, 고려사, 태조실록 등 옛 문헌에 기록된 용에 대한 내용이 전..

국내여행 2025.01.13